티스토리 뷰

Windows 환경에서 Linux 운영체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

기존에는 VMware와 같은 별도의 가상 머신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했었다.

 

VMware를 사용하면 로컬PC가 너무 무거워져서 다른 방법을 확인해보았다.


Windows 환경에서 직접 Linux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데

이 기능이 WSL(Windows-Subsystem-Linux), 즉 "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"이다.


WSL은 버전 1과 버전 2가 존재한다.
WSL2는 기존 버전보다 아래와 같은 이점이 있기에 업데이트하여 사용한다.

  • 파일 시스템 성능 향상 : apt 관련 작업에 대한 속도 향상
  • 전체 시스템 호출 호환성 지원 : Linux 커널이 포함되어 언제든 업데이트가 가능함.

WSL2 설치 과정을 시작합니다.

 

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아래 명령어 입력

#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옵션 기능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/all /norestart

#Virtual Machine 플랫폼 옵션 기능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VirtualMachinePlatform /all /norestart

재부팅 후 

재부팅 후 인터넷 연결이 안 된다면 여기서 확인

 

인터넷이 잘된다면 계속 진행

 

아래 사이트로 이동해서 "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" msi 파일 다운로드

 

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install-manual#step-4---download-the-linux-kernel-update-package

 

 

 

다운로드한 msi 설치

 

microsoft store에서 사용하고자 하는 os 검색하여 설치(필자는 Ubuntu-18.04로 설치 진행)

 

 

powershell 관리자 권한으로 실행

 

#현재 wsl 버전 확인 기존적으로 1버전이거나 표출되는게 없을 수 있음
wsl -l -v
#wsl 버전 2로 변경
#작성예시 wsl --set-version 하위시스템명
wsl --set-version Ubuntu-18.04 2

 

명령어가 정상적으로 적용되었다면 

적용하는데 몇 분이 걸린다는 메시지가 표출되고 

작업이 완료되면 변경 완료 메시지가 표출된다.

 

#변경된 버전 확인 wsl 버전 확인
wsl -l -v

 

 

microsoft store에서 설치한 Ubuntu-18.04 앱에 정상적으로 접속되는지 확인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4/06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