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ZkZfq/btrv104afLm/0cNnal47Pn7rCwuSI8jKp0/img.png)
Windows 환경에서 Linux 운영체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는 VMware와 같은 별도의 가상 머신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했었다. VMware를 사용하면 로컬PC가 너무 무거워져서 다른 방법을 확인해보았다. Windows 환경에서 직접 Linux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이 기능이 WSL(Windows-Subsystem-Linux), 즉 "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"이다. WSL은 버전 1과 버전 2가 존재한다. WSL2는 기존 버전보다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기에 업데이트하여 사용한다. 파일 시스템 성능 향상 : apt 관련 작업에 대한 속도 향상 전체 시스템 호출 호환성 지원 : Linux 커널이 포함되어 언제든 업데이트가 가능함. WSL2 설치 과정을 시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m4Np/btru2nyXneD/LRzuADnEq214kGVJtcbjZ1/img.png)
Windows 환경에서 WSL2 사용을 위해 관련 설정을 변경하고 재부팅을 하였는데 기존에 잘 사용하고 있던 LAN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. 자세히 설명하면 제목과는 조금 다르게 WSL2를 설치하기 전 설정을 적용하고 연결이 안되었던 것으로 보인다. 우선 설정을 변경한 부분은 아래와 같다. 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/all /norestart 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VirtualMachinePlatform /all /norestart 두 명령어를 진행하였는데 해당 명령어는 "Windows 기능 켜기/끄기" 메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gradle
- Eclipse
- Windows
- 이벤트발생
- btye
- spring
- mybatis
- Git
- SpringBoot
- JPA
- JSON
- 컨테이너
- parse
- 날짜
- web
- React
- SSL
- WAS
- TLS
- html
- SQL
- Linux
- docker
- jaxen
- jQuery
- Oracle
- vscode
- Java
- IMAGE
- 깨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